본문 바로가기
남성 & 여성 생식기계/아름다운 성(性)

입가 수포, 입술 수포, 성기 수포, 손가락 수포

by 건강한콩알두알 2023. 8. 4.
안녕하세요, Kong-AL 입니다. 

최근 연애 프로그램에서 만났던 남녀가 단순 헤르페스에 감염이 되어서 떠들썩했던 이야기를 기사로 본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헤르페스는 바로 단순 헤르페스를 의미하는데, 이 바이러스는 평생 내 몸에 남아 있기 때문에 이슈가 된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헤르페스가 도대체 뭐길래 조심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헤르페스

 

 우리가 흔히 아는 헤르페스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HSV)가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헤르페스는 전 세계 정상 성인의 약 60~95%에서 감염이 확인될 정도로 인간에게 가장 흔히 있는 감염증들 중의 하나입니다. 

한 번 감염이 일어나면 바이러스는 평생 인체 내에서 대부분 잠복 형태로 존재합니다. 

 

처음 발병하는 음부 헤르페스는 치료를 받지 않으면 몇 주씩 지속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도가 지극히 다양해서 사람에 따라서는 증상이 아주 가볍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재발 시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처음보다 가벼우며 지속 기간도 짧습니다. 

 

2. 종류

HSV는 8가지가 있지만 흔히 1형과 2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 HSV 1형

 

 주로 얼굴의 삼차신경절에 감염이 되고, 보통 입술 가장자리에 생깁니다. 이를 흔히 입술 물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입술, 입가에 주로 생기지만 이 외에도 손바닥, 손가락, 코, 콧속 등에도 생기기도 합니다. 

손발톱 주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은 영유아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농이 차있는 것 같아도 절개해보면 농이 없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치유가 될 수 있으나, 광범위해질 수 있으니 꼭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HSV type 1, 사진출처 : medizin                                                             HSV type 1,  DEUM       

 

  • HSV 2형

 

 주로 사타구니 부근의 천골 신경절에 감염이 됩니다. 보통 음부 또는 항문 주위에 생깁니다. 음부 또는 항문 주위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포는 터져서 만지면 아픈 궤양으로 변하다가 결국은 아물기도 합니다. 아무는 과정에서 간지럼증, 발진 등이 있을 수도 있구요.

아무는 기간은 대게 1~2주정도 걸립니다. 

 

HSV type 2, 사진출처 : My med

 

HSV는 한번 감염되면 그 바이러스가 병변 부위와 연결되어 있는 신경을 따라 이동하여 잠복합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재활동하기 시작해서 다시 신경을 따라 외피로 이동하여 재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도 헤르페스의 일종(헤르페스 3형)입니다. 수두가 면역력 저하로 인해 재발하는 것이 바로 대상포진입니다. 이 또한 완치가 불가능한 바이러스 입니다. 

 

3. 전염 경로

 

 HSV에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한 피부 접촉에 의해서 전염됩니다. 따라서 보통은 질 성교, 항문 성교, 구강 성교를 통해서 전염되기도 합니다. 

 

HSV 1형은 대부분이 구강 분비물에 의해서 전파 됩니다. 

 

HSV 2형은 대부분이 생식기 분비물에 의해서 전파됩니다. 

 

 성교를 하지 않아도 피부가 서로 접촉할 경우에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손 혹은 입에 상처가 있는 상태에서 상대의 혈액 혹은 물집이 터진 부분 등 타액이 들어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4. 증상 발현

 

 잠복기는 평균 6일이며, 처음으로 발병하는 경우는 감염 후 2~20일에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무증상이 60%, 유증상이 40%일 정도로 몇 달 또는 몇 년이 지날 때까지 증상이 없기도 합니다. 

 

흔한 증상은 피부 또는 점박에 붉은 기저부 위에 군집을 이루는 작은 물집 즉, 수 소포를 보입니다. 그 자리에 소양감이나 작열감을 호소하는 수포가 발현하는 것이죠. 

 

5. 재발 

 

 대부분의 경우는 처음 발병한 후 수 년이 지난 뒤에 재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월경, 스테로이드 투여, 레이저 수술, 외상, 신경 손상, 피로, 스트레스, 햇볕에 오랜 시간 노출 되었을 때, 과음, 약물 과용 등 개인 차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일주일 뒤에, 한 달 뒤에 재발할 수도 있습니다. 

 

6. 불임

 

 HSV는 정자에 의해서 전염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불임의 원인도 아닙니다. 

 

임신 중에 재발할 경우에는 태아에게 영향이 갈 가능성이 있지만 지극히 드뭅니다. 임신 중에 처음으로 발병할 경우에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상 징후 혹은 증상이 있을 시 바로 진료를 받아야만 합니다. 

 

추가적으로, HSV 2형 즉, 음부 헤르페스를 앓았던 경험이 있는 여성은 출산 시 재발할 경우에 대비하여 산과 전문의 또는 조산사에게 미리 알려주셔야 합니다. 이는 아이에게 헤르페스 감염 위험성을 50% 증가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제왕절개를 해야할 수도 있으니 꼭 미리 말씀을 하셔야만 합니다. 

 

7. 치료

 

  • 가장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 것이 바로 아시클로버, 팜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와 같은 항바이러스 제제입니다. 항바이러스 연고, 항생제 주사, 경구약이 있습니다. 진료 후 처방에 따라서 적용하면 됩니다. 

 

  • HSV가 처음으로 발병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누구나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단을 확인하는 것이 치료의 첫 번째 단계니깐요. 

 

  • 환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헤르페스의 전구 증상인 환부 및 그 주변의 쓰라림, 따끔거림, 가려움증, 불쾌감 등이 나타날 때부터 궤양이 완전히 아물 때까지 성적 접촉을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콘돔을 사용하여 헤르페스의 전염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콘돔을 사용해도 감염부위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성행위 도중에 빠지는 경우도 있어서 전염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완전한 치료 후에 관계하는 것이 좋지만 피치 못할 사정이 생긴다면 꼭 콘돔을 착용해야만 합니다. 새로운 파트너 혹은 임시 파트너와는 반드시 콘돔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예 하지 않는 것이 더욱 좋구요. 

 


 

우리나라 HSV 감염 유병률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HSV 감염의 치료 목적은 새로운 병소 발생의 억제, 통증 경감, 치료 필요시간 단축, 바이러스 노출의 감소이지만 항바이러스 제제로는 완전 소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성관계는 한 사람과만 하는 것이 좋으며 증상 발현 즉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바이러스의 전파 또한 예방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만 합니다. 여러분의 건강은 소중하니깐요. 

반응형

댓글